공공서비스디자인 
포트폴리오


공공서비스디자인 총 34개 기관 운영으로 소개를 대신합니다. 

약 2,000시간, 워크숍 350회 이상의 운영 경험

2017-2024 

중앙 15, 지자체 19

14회 우수과제
대통령 1, 국무총리 1, 장관 12

안녕하세요! 

크레타입 대표 이종휘입니다


크레타입은

공공서비스 디자인 컨설팅 전문 기업입니다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씽킹, 퍼실리테이터, 디자인IP, 1인 창업 비즈니스 서비스 디자인 코치 


지난 8년간 34개 공공서비스디자인 과제 진행 
14회 우수과제 선정: 대통령상 1회, 국무총리상 1회, 장관상 12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 등록 기업 
前서울디자인재단/ 인천테크노파크 서비스디자인 컨설턴트 
前고영테크놀러지, 인프라웨어 UX/UI 디자이너 
디자인 전문회사 크레타입 운영(대표)
국민대학교 인터랙션 디자인 석사, 연세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수행기관들


2024년 
광주광역시 동구(대통령상), 부여군/하남시/국립수목원(장관상),
공주시, 화학물질안전원, 농림축산검역본부 

2023년 
동대문구청/ 파주시청(장관상) 

2022년 
광주광역시 동구(국무총리상), 화학물질안전원(장관상)
통일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파주시 

2021년 
국립정신건강센터(장관상), 산림청 사유림 경영소득과,
광주광역시, 국립과천과학관, 강원도, 통계청, 양주시 

2020년 
국립자연휴양림/단양군/양주시 기획예산과(장관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양주시 복지지원과, 부여군 

2019년
산림과학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8년
단양군(장관상) 

2017년 
부여군(장관상) 


*파란색 글씨의 경우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과제 선정 기관입니다.

우수사례 자료 링크


2024년
광주광역시 동구(대통령상)
놀이발자국, 골든타임을 지켜줘!  
바로가기 링크

부여군(장관상)
복지똑!톡(talk)! 똑·톡하게 복지정보 Dream  
바로가기 링크
 
하남시 (장관상) 
치매환자가족지킴이-손잡고 동네방네  
바로가기 링크
 
국립수목원(장관상) 
우리 동네 기후변화 탐사 프로젝트-나도 나무과학자!  
바로가기 링크



2023년 
동대문구청(장관상)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 구청 접근성 향상을 위한 Well-come 서비스 
바로가기 링크


파주시청(장관상) 
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고립가구 발굴 지원- 청춘 GoBack
바로가기 링크


2022년
광주광역시 동구(국무총리상) 
치매환자 실종 제로 프로젝트 「치매안심 울타리」
바로가기 링크

화학물질안전원(장관상) 
화학 안심 꾸러미’받고 우리 가족 안전을 챙기세요!
바로가기 링크


2021년 
국립정신건강센터(장관상)
국민과 함께하는 발달장애서비스디자인 –OOO의 우당탕탕 탐험일지
바로가기 링크


2020년
국립자연휴양림(장관상) 
코로나도 비켜 가는 언택트 숲해설! 함께해 보실래요?
바로가기 링크

단양군(장관상) 
먼지 쌓인 리플릿은 툭툭툭~ 내가 원하는 관광 정보만 쏙!쏙!쏙!
바로가기 링크


양주시(장관상) 
1인가구 세이프 라이프 공동체 논스톱 생활안전 안심귀가길 모델 개발
바로가기 링크


2018년
단양군(장관상) 
귀농귀촌 갈등? 해결실마리 국민과 같이 찾다
바로가기 링크

2017년
부여군(장관상) 
노인 맞춤형 교통안전 디자인
바로가기 링크


크레타입은 서비스디자인 전문 회사입니다

2017년 부여군을 시작으로 서비스 디자인과제를 전문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민정책디자인단 총 34기관 진행(중앙 15, 지자체 19), 
14회 우수과제 선정(대통령상 1, 국무총리상 1, 행안부 장관상 12)을 통해 진행 능력을 입증하였습니다.

제품 기획부터 생산 및 판매까지 

전 과정에 대한 경험이 풍부합니다

컨셉 발굴을 통한 경진대회 대상,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제품 런칭, 실제 제품 판매를 통한 판매 경험이 있습니다. 
제 2회 한글 창의아이디어 공모전 문체부 장관상, 텀블벅을 통한 크라우드 펀딩 ‘스포키’ 출시, 실제 기획부터 양산, 판매까지 진행한 ‘스티코미’ 등

대규모 워크숍 운영을 통한 의견수렴 진행

2025년 오픈 예정인 미래교육캠퍼스의 적용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했습니다.  
약 80명이 참석하였으며 각 그룹별 퍼실리테이터 배치를 통해 의견 나눔을 진행하였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창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진행

최신 생성형 AI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 혁신적인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구체화를 진행하였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오프라인 창업설계 5단계 개발

독립창업을 꿈꾸는 소상공인들을 위한 오프라인 창업 설계 5단계를 개발하고 실제 창업을 도왔습니다.

환자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병원 설계

서울디자인재단 서비스디자이너 컨설턴트 활동 시 ‘서북병원’의 환자 중심의 ‘비순응 결핵환자 입원 병동’설계를 구축하였습니다.